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

건설현장 응급장비(AED) 신고 및 점검 필수 건설현장에서 재해발생시 응급의료를 진행하기 위해 응급장비를 구비하며 관리를 하고있다. 대부분 응급장비를 근로자들이 볼 수 있는 장소(근로자 휴게실, 경비실, 현장 보행로 등)에 구비해 놓지만 인원이 부족하거나 다른 이유로 응급장비 없이 운영하는 현장들도 있다. 하지만 올해(22.12.22 시행) 말부터는 응급장비 구비는 기본이고 대상 현장은 신고까지 필수로 해야한다. 응급장비(AED) 구비 의무 기준(22.12.22 시행) 환자가 갑자기 쓰러지거나, 숨을 안쉬는 경우 119에 신고하고, 119가 오는동안 골든타임이 발생하는데, 이 때 응급장비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진행해야한다. 골든타임때 심폐소생술을 사용하여 죽을뻔한 환자를 되살린 사례가 많은데, 가끔 노후된 응급장비가 제 역할을 못해 작동 중에 멈춘.. 2022. 12. 16.
굴착기 안전보건작업 지침(KOSHA GUIDE c-105-2021) 굴착기 안전보건작업 지침 관련 규격 및 자료 KOSHA GUIDE C-39-2011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건설기계 시공안전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KS B ISO 7135:2020 토공기계 - 유압굴삭기 - 용어 및 상용 사양 KS B ISO 6165:2019 토공기계 - 기본 - 식별과 용어 및 정의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196조~제206조(차량계 건설기계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38조~제347조(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운반하역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26호) 굴착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00호) 건설기계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882호) 제10조~제12조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 2022. 12. 15.
한번에 보는 시스템비계 설치·해체 안전관리 비계(飛階)는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설치한 가설물'이다. 비계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요즘 대부분 건설현장에서는 시스템비계를 사용한다.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시스템비계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은 강관비계를 설치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사전에 계획하여 시스템 비계로 대체되고 있다. 시스템비계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안전관리를 해야 하는지 정리해봤다. 목차 시스템비계 안전관리 시스템 비계란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 각각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형 비계이다. 예전에는 강관비계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요즘은 대부분 건설현장에서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가 있다. 강관비계에 비해 설치,해체가 용이하고, 강도가 높으며 안전성이 우수하기때문이다. 시스템비계는 설치,해체.. 2022. 12. 13.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 Tip(밀폐공간,등유,고체연료,방동제,한랭질환) 목차 동절기 안전보건관리 눈이 내리는 겨울은 낭만적이지만 안전관리자에게는 그다지 낭만적이지 않다. 겨울철이면 안전 관리해야 될 사항들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추워지기 전 동절기 안전관리 사항들을 미리 확인해서 사고 없이 지나갈 수 있도록 관리하자. 동절기 재난경보 대설(폭설) - 주의보 : 24시간 신적설이 5cm 이상 예상될 때 - 경보 : 24시간 신적설이 20cm 이상 예상될 때(산지는 30cm 이상) * 신적설 : 특정 기간 동안에 새롭게 내려 쌓인 눈의 깊이 한파주의보 -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도 이상 하강하여 3도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 2022. 12. 8.